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ekyll & Hyde
- 독서
- 조선일보
- 루시
- 경향신문
- 금융상식
- 넘버추천
- 뮤지컬
- 티스토리챌린지
- Wicked
- 엘파바
- 중앙일보
- STEW 독서모임
- 스튜
- 글린다
- Musical
- stew
- 서평
- 오블완
- 위키드
- WorldDJFestival
- 경제용어
- 월디페
- 금융용어
- 영화 위키드
- 경제상식
- 지킬 앤 하이드
- defying gravity
- 2024 월디페
- 넘버 추천
- Today
- Total
목록중앙일보 (5)
스댕이의 문화 & 금융 이야기 -
오늘의 기사 : [사회] 정준영 몰카에 정신 팔릴 때···클럽·경찰 유착 의혹 묻힌다 / 중앙일보 / 2019. 03. 14. 기사 링크 : http://bit.ly/2VWPcnN 클럽 버닝썬의 폭행이 발단이 된 이번 사건이, 클럽-경찰 간 유착 문제, 연예인 승리시의 성 접대 문제, 마약 유통 문제를 넘어 정준영씨로 부터 촉발된 몰카 공유 문제, 연예인-경찰 유착 문제까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정준영씨의 이번 몰카 사건은 카톡만 약 20만건에 달해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은 빙산의 일각이라는 얘기가 있어 더욱 논란이 커질 전망입니다. 정준영씨의 몰카와 관련 된 각종 찌라시들이 유포되고 있으며, 몰카의 대상이 누군지 추측하는 기사가 난무하며 2차 가해 역시 심각한 수준입니다. 하루가 멀다..
오늘의 기사 : [사회] 'B737 맥스 공포' 세계 강타···내가 탈 항공기 기종 확인법 / 중앙일보 / 2019. 03. 13. 기사 링크 : http://bit.ly/2EX0fX9 보잉사의 B737 맥스 기종 항공사가 5개월 사이에 2번이나 추락하면서 소비자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작년 라이언에어의 여객기가 이륙 11분 만에 추락한 데 이어 지난 10일 국영 에티오피아 항공에서도 같은 기종의 여객기가 추락했기 때문인데, 불과 5개월 만에 같은 기종의 여객기가 추락 했다는 점, 이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추락했다는 점 등, 두 사고가 유사한 점이 많아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B737 맥스 기종이 노후화 된 기종이 아니라 나온 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최신형 항공기이..
오늘의 기사 : [사회] 방학기간 '반짝' 복직해 급여 챙긴 교사들…비용 10억원에 달해 / 중앙일보 / 2019. 03. 09. 기사 링크 : http://bit.ly/2tXmZRG 육아나 건강 상의 이유로 휴직계를 낸 교사들이 명절이나 방학 기간에만 잠깐 복직해 급여를 타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됐다는 기사입니다. JTBC의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사례가 최근 3년간 130건에 달했으며, 금액으로는 총 10억 원 가량이라고 하네요. 사실 이런 식으로 세금이 세고 있는 곳은 비단 학교 뿐만이 아닐 것입니다. 제가 군대에 있을 때도 부정한 방법으로 수당을 챙기는 간부들이 많았고, 공무원이 된 주변 친구들에게 들은 얘기도 꽤 있습니다. 결론만 놓고 보면 이들 모두 부정한 방법으로 수당을 챙겨갔다는 ..
오늘의 기사 : [사회] "文 "중국서 오는 미세먼지 협의" 中 "충분한 근거 있는건가"" / 중앙일보 / 2019. 03. 07. 기사 링크 : http://bit.ly/2NM64uA 중국 정부가 국내의 극심한 미세먼지를 중국 탓으로 돌리는 한국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미세먼지 감축과 관련하여 한, 중 협의를 지시했다는 데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묻자,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한국의 스모그가 중국에서 왔다는 데 한국 방면에서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 최근 이틀간 서울의 초미세먼지가 147㎍/㎥로 검측 됐는데, 베이징은 이틀간 그만큼 높지 않았다.” 또한 중국환경과학원대기영역 수석 전문가는 지난 1월 “중국의 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