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usical
- 글린다
- 오블완
- 중앙일보
- 조선일보
- 넘버 추천
- 독서
- 루시
- 뮤지컬
- 경제용어
- 지킬 앤 하이드
- 2024 월디페
- 경제상식
- 티스토리챌린지
- WorldDJFestival
- Jekyll & Hyde
- 월디페
- 금융용어
- 경향신문
- STEW 독서모임
- 스튜
- stew
- 금융상식
- defying gravity
- 위키드
- Wicked
- 엘파바
- 넘버추천
- 영화 위키드
- 서평
- Today
- Total
목록부동산 (2)
스댕이의 문화 & 금융 이야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nGcJ/btsbQv3BeAr/RCnvG1BtZWJWK7C4zbU6T0/img.png)
유동성(Liquidity)은 많은 사람들이 경제 용어 중 가장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그러나 유동성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잘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유동성은 자산이나 금융상품을 얼마나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현금은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입니다. 현금은 언제든지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동산은 현금과 달리 유동성이 낮습니다. 부동산은 현금화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가격 협상과 법률적 절차도 수반됩니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이라면 현금화를 위한 비용이나 시간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해당 자산의 시장 가치는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유동성이 높은 자산일수록, 현금화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적어지..
오늘의 기사 : [경제] 장사 접었습니다… 상가 공실률 역대 최고 / 조선일보 / 2019. 01. 31. 기사 링크 : http://bit.ly/2XtNrQH 제가 어제 본 기사와 비슷한데, 최근 상가 공실률은 정말 심각한 것 같습니다. 서울태생이라 서울에서만 쭉 살았는데, 서울에서 살면서 요즘 처럼 공실이 많은 건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압구정, 강남, 종로 등등 주요 상권들의 고층 사무실은 물론이고, 1층의 핵심 자리 역시 공실이 꽤 많더군요. 그런데도 강남권의 임대료는 내려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건너 건너 들은 얘기로는 주요 상권에는 건물주들 모임이 있어서 서로 임대료를 내리지 않기로 담합을 한다네요. 임대료를 낮추는 순간 건물 가치가 떨어지고, 결국 상권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